본문 바로가기
  • 끝까지 알려주는 cookshool
  • 처음부터 알려주는 cookshool
자동차

차량용 소화기 의무화, 선택이 아닌 필수

by 쿡스쿨 2024. 9. 5.
728x90
반응형

차량용 소화기 설치가 의무화가 됩니다. 올해 12월부터 바뀌며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소화기 의무 비치 대상 범위와 어디에 소화기를 두어야 하는지, 소화기가 없으면 꼭 구매를 해야 하는지를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량용 소화기 의무화 대상 범위

이제 차량용 소화기가 2024년 12월 1일부터 5인승 이상의 승용차에 의무화가 되었습니다. 차량에 설치를 하셔도 되고 비치를 하셔도 됩니다. 이는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나와있습니다. 2021년 11월에 법이 개정이 되었지만 유예기간 3년이 되어 본격적으로 2024년 12월부터 시행이 되는 것입니다. 
소방시설 관리법에 자동차를 제작, 조립, 수입, 판매하려는 자 또는 해당 자동차의 소유자는 차량 소화기를 설치하거나 비치하여야 한다. 5인승 이상의 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가 대상 범위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기존에는 7인승 이상의 자동차에 의무설치였다면 이제 5인승 이상으로 확대가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차량용 소화기를 두어야 할 곳

차량용 소화기의 경우 집에 있는 소화기를 생각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법에서는 차량용 소화기를 설치, 비치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는 차량용 소화기가 따로 있는 것으로 일반 소화기 보다 진동과 고온에 강하고 소화기 성능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 차량용 소화기입니다. 별도의 성능 검증을 통과를 해야 자동차 겸용 표시가 달리며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 차량용 소화기의 경우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갖추는 기준이 있습니다. 

  • 승용자동차 5인승 이상의 경우 1단위 1개가 필요하며 사용하기 쉬운 곳에 비치를 합니다. 
  • 승합자동차 경형(1,000cc 미만)의 경우 1 단위 1개가 필요하며 사용하기 쉬운 곳에 비치합니다.
  • 승합자동차 소형 (15인승 이하)의 경우 2 단위 1개 또는 1단위 2개가 필요하며 11인승 이상은 운전석 또는 운전석과 옆으로 나란한 좌석에 비치를 합니다. 
  • 승합 자동차 (16~35 인승)의 경우 2단위 2개가 필요하며 23인승 초과 시 운전자 좌석 부근 60cm * 20cm 이상의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 승합자동차 대형 (36인승 이상)은 3 단위 1개와 2 단위 1개가 필요하며 중형과 같은 곳에 차량용 소화기를 설치하셔야 합니다. 
  • 화물 자동차나 특수 자동차 중형 (1통 초과~ 5통 미만)의 경우 1 단위 1개가 필요하며 사용하기 쉬운 곳에 배치합니다. 
  • 화물 자동차나 특수 자동차 대형 (5톤 이상)의 경우 2 단위 1개 또는 1단ㅇ뉘 2개가 필요하며 사용하기 쉬운 곳에 설치를 합니다. 

여기서 1 단위, 2 단위의 경우 능력 단위를 말하며 작은 모형 하나에 불이 붙었을 경우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기가 1 단위이고 큰 모형 하나에 불을 붙였을 경우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기가 2 단위입니다. 

 

 

차량용 소화기를 구매해야 하는 것인가

2024년 12월부터는 5인승 이상의 자동차에는 자동차 검사를 받을 때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지 않는다면 불합격을 받습니다. 그렇다면 차량용 소화기를 구매를 해야 하는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소화기 설치 의무는 12월 1일 이후 제작, 수입, 판매되는 자동차와 소유구너가 변경되는 자동차부터 적용이 되며 기존에 등록된 차량에는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만약 12월 1일 이후에 신차를 사거나 중고차를 사거나 명의 이전을 하시는 분들은 의무인 것이고 그전에 차주분들은 의무가 없기 때문에 구매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자동차 소화기 의무화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자신이 차량을 구매할 의사가 있거나 바꾸실 의사가 있으신 분들께서는 꼭 참고하셔서 자신이 어떤 차량인지를 확인하고 차량 어디에 두어야 맞는 것인지를 알아두셔야 합니다. 

 

2024.09.01 - [자동차] - 신차 엔진오일 교체 언제 해야 적절한가

 

신차 엔진오일 교체 언제 해야 적절한가

새 차를 구입하게 된다면 많은 것을 신경 쓰게 됩니다. 계속해서 길들이기 위해 방법을 찾게 되는데 그중 엔진오일을 언제 교체를 해야 좋은지 의아해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신차 엔

cookschool.tistory.com

2024.08.27 - [자동차] - 자동차 엔진 소음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아보자

 

자동차 엔진 소음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아보자

운행을 하려고 자동차의 시동을 켰을 때 갑자기 어제와 다른 소음이 들린다면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큰 문제인지 작은 문제인지 모른 채로 계속해서 운행을 한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

cookschool.tistory.com

2024.08.19 - [자동차] - 연료첨가제 효과는 과연 있는 것인가

 

연료첨가제 효과는 과연 있는 것인가

연료첨가제는 우리에 차량에 좋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여 추가로 넣는 것입니다. 이러한 연료첨가제가 어디가 좋아서 사용하는지는 잘 모른 체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

cookschool.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