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에서 하는 정책들 중에 자세히 살펴보시면 중위소득이라는 단어가 굉장히 많이 나옵니다. 정책 지원을 받거나 신청을 할 때 자신의 기준 중위소득을 모른다면 난처해지기 일쑤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자신이 어떠한 중위소득에 속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기준 중위소득 중 중위소득 100% 이하는 어떻게 되며 어떠한 복지 혜택이 있는지를 간다 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이란 대한민국 총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하여 순서를 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오늘 알아볼 중위소득 100% 이하를 예를 들자면 전체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이 바로 중위소득 100%가 되는 것입니다. 이때 매년 정부에서는 중위소득을 바탕으로 하여 경제지표를 반영하게 되는데 매년 소득이 바뀌기 때문에 매년마다 다르게 측정이 되기 때문에 자신이 속해있는 중위소득을 잘 알아야 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 기준
먼저 중위소득 100% 이하의 기준 중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따지자면 2023년 기준 산정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가구원 수 | 직작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1인 | 88,753원 | 26,673원 | |
2인 | 123,511원 | 68,365원 | 124,093원 |
3인 | 157,684원 | 121,134원 | 159,423원 |
4인 | 191,845원 | 151,504원 | 194.564원 |
5인 | 226,361원 | 191,639원 | 230,142원 |
6인 | 261,015원 | 235,637원 | 266,386 |
이렇게 자신이 건강보험료를 얼마 내느냐에 따라 중위소득 100% 이하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중위소득 100% 이하를 소득 기준으로 나뉘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 | 중위소득 100% |
1인 | 2,077,892원 |
2인 | 3,456,155원 |
3인 | 4,434,816원 |
4인 | 5,400,964원 |
5인 | 6,330,688원 |
6인 | 7,227,981원 |
자신의 가구원 수의 소득을 합해 위와 같은 금액이 나온다면 중위소득 100% 이하가 될 수 있습니다.
2023년 중위소득 혜택
중위소득 100%이하라고 모두가 정부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중위소득에 따라 혜택을 4가지로 나뉘어 정부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생계급여: 생계급여는 기준중위 소득 대비 30% 이내의 가구만 받을 수 있으며 4인가구 기준 소득 162만 원입니다.
- 의료급여: 의료급여는 기준중위소득 대비 40%이내의 가구로써 4인가구 기준 216만 원입니다. 이때 급여 대상 항목으로는 수급자 본인 부담 금액을 제외한 전액을 지원하게 되며 몇 가지 검사도 같이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주거급여: 주거급여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 47%이하 가구에 속해야 합니다.
- 교육급여: 교육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의 가구에 속하며 현금 바우처로 지급을 하게 되며 교육활동지원비를 지급, 교과서 대금, 입학급, 수업료등을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를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자신에게 속해있는 것들이 있다면 꼭 챙겨서 지원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2023.03.13 - [잡다한 정보] - 4대보험 가입증명서 발급 방법 10분 안에 하기
4대보험 가입증명서 발급 방법 10분 안에 하기
한국에서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가입되어 있는 4대 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뜻하고 있습니다. 직장인 누구나 의무 적으로 가입이 되어있어 세금 신경만 쓰고 있다가도
cookschool.tistory.com
2023.03.08 - [잡다한 정보] - 주택청약 당첨 후 준비사항과 당첨 포기
주택청약 당첨 후 준비사항과 당첨 포기
주택청약은 한 번만 당첨이 될 쉬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생각하고 도전을 해 보아야 합니다. 만약 아무 준비 없이 주택청약을 넣어서 당첨될 경우 계약금이 없어 당황하실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cookschool.tistory.com
2023.02.16 - [잡다한 정보] - 퇴직금 미지급 신고방법과 퇴직금 계산방법
퇴직금 미지급 신고방법과 퇴직금 계산방법
퇴직금은 근로한 노동자에 대하여 고용주가 꼭 지불해야 하는 비용입니다. 만약 고용주가 퇴직금을 주지 않기 위하여 미루거나 주지 않는다면 신고가 가능하고 처벌을 받게 할 수 있습니다. 그
cookschool.tistory.com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대보험 가입증명서 발급 방법 10분 안에 하기 (0) | 2023.03.13 |
---|---|
주택청약 당첨 후 준비사항과 당첨 포기 (0) | 2023.03.08 |
주택청약 특별공급 종류와 조건은 어떠한가 (0) | 2023.02.26 |
퇴직금 미지급 신고방법과 퇴직금 계산방법 (0) | 2023.02.16 |
경찰 계급표와 계급장 11가지 (0)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