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돌아오는 겨울철. 겨울철마다 신경 써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그중 하나는 겨울철 피부 가려움증이 있습니다. 이 겨울철 피부 가려움증은 건조한 날 많이 생기긴 하지만 건조한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피부가 건성이신 분들은 더욱더 가려움증이 많이 심하실 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겨울철 피부 가려움증은 왜 생기는 것이며 겨울철 피부 가려움증 관리법에 대하여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ㅂ
겨울철 피부가려움증은 왜 일어나는 것인가. (겨울철 피부 가려움증 원인.)
: 피부가 가려운 것에는 많은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건조한 날씨 때문이죠. 겨울철에는 낮은 기온 뿐만 아니라 습도도 낮아 건조함이 심해지는 날입니다. 피부가 건조하게 되어 피부의 수분이 없기 때문에 가려움증이 시작되는 것이죠. 또한 겨울철에는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 때문에 우리 몸에는 수분과 피지 분비선이 줄어들어 피부가 건조하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겨울철에는 피부 가려움증이 생기는 이유입니다.
두 번째는 극심한 온도차이 때문입니다. 겨울철에는 영하의 날씨에 피부가 소이 말하는 얼어붙게 됩니다. 그 상태에서 실내로 들어가거나 따뜻한 곳에 들어가 몸을 녹이는 경우가 많으실 것입니다. 또한 찬 몸을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기 때문에 피부가 예민해질 수밖에 없고 가려워질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세 번째로는 나이가 많으신 분들은 갱년기의 호르몬의 변화 때문이기도 합니다. 나이를 먹게된다면 갱년기가 올 수밖에 없습니다. 이때 몸에 많은 변화가 생기며 호르몬 또한 변화하게 됩니다. 갑상선 이상이나 당뇨 신부전증의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피부 가려움증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ㅂ
겨울철 피부가려움증 관리법.
1. 실내 온도와 습도를 유지합니다.
: 겨울철에는 실외보다 실내에서 시간을 더 많이 보내게 됩니다. 이때 실내 온도와 습도를 잘 유지한다면 피부 가려움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실내 적정온도는 20~24도, 적정 습도는 50% 전후로 맞춰 주시면 됩니다. 또한 너무 춥다고 하여 온풍기나 난방기구, 온돌을 너무 세게 트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겨울철 피부 가려움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온풍기나 난방기구를 너무 세게 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 샤워 습관이 중요합니다.
: 너무 추운 날씨로 인하여 샤워를 할 때 뜨거운 물로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것은 몸의 가려움증을 더욱 유발시키는 행위입니다. 샤워를 할 때에는 물 온도를 미온수로 하여 가볍게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샤워 후 관리도 중요합니다. 샤워 후에는 몸에 있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 후에 바디로션, 보디 오일, 바디크림 등 보습제를 몸에 충분히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한다면 우리 몸에 피부에 피부 장벽을 보호하여 건조해지는 것을 막아 가려움증을 예방할 수 있게 됩니다.
3. 평소 생활습관이 중요합니다.
: 생활습관을 많이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단 2가지만 평소에 하신다면 겨울철 가려움증을 예방, 관리를 하실 수 있습니다. 그 생활 습관은 물을 자주 먹는 습관을 드리는 것입니다. 물을 하루에 적게 마시는 분들이라도 하루 1리터 이상을 꾸준히 마셔 준다면 가려움증에 정말 좋습니다. 또 다른 생활습관은 꾸준한 운동을 하는 것입니다. 평소에 꾸준히 운동을 하신다면 신진대사를 활서오하 시켜 몸의 면역력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겨울철 피부 가려움증을 예방할 수 있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겨울철 신경써야 할 것들 중 하나인 피부 가려움증에 대하여 원인과 관리법, 예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평소 습관만 조금만 바꾸셔도 우리 몸이 큰 변화를 이룰 것입니다. 평소에 겨울철 피부 가려움증 때문에 고민하셨던 분들은 습관을 조금 바꾸어 생활하신다면 큰 진전이 있으실 것입니다.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미크론 증상 총정리(feat 오미크론 치료) (0) | 2022.01.27 |
---|---|
내성발톱 자가치료와 원인. (0) | 2021.12.27 |
12월 거리두기 개편안 4주 연장 (0) | 2021.12.04 |
MBC사장 사과, 국제망신을한 MBC측 사과 (0) | 2021.07.26 |
일리야 비판, MBC 개막식 논란 (0) | 2021.07.25 |
댓글